리젝에 대처하는 마음가짐: How to deal with paper rejection

최근에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 일들이 많다보니, 블로그 업데이트는 제일 먼저 우선 순위에서 밀려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최근에 Reject 메일을 받아서, 안그래도 한번 쓰고자 했던 내용인 대학원 생활 중 가졌으면 하는 리젝에 대처하는 마음가짐에 대한 글을 써볼까 합니다. 논문을 내고 Rejection mail을 받는 것은 모든 연구자들의 숙명이 아닐까 합니다 (사실 밥먹듯이 하는 일). 지금은 이러한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익숙해지긴 했지만, 그래도 리젝을 당하는 경험 자체가 썩 기분 좋은 일을 아닐 겁니다. 특히나 매우 공들였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던 저널로 부터 받는 Rejection 메일이라면, 더더욱 멘탈에 금이 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관련 포스팅 보기]

Basic mind-set

기억을 돌이켜, 전공의 시절 엄청 수고를 들였던 논문이 기대했던 저널로부터 리젝을 받았을 때의 정신적 충격은 생각 외로 컸습니다. 특히나 3개월 이상 걸렸던 긴 리뷰 시간과 납득하기 어려운 게제 거절 사유를 접했을 때의 분노, 충격, 우울감이란.. 지금 돌이켜보면 참 별 것 아니었는데, 당시에는 거의 한달 가까이 삶과 사람의 몰골이 피폐해졌던 같습니다. (마치 짝사랑하던 사람에게 차인 정도의 정신적 데미지랄까요) 다음은 리젝을 받아들이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도움이 될 만한 제가 생각하는 기본적인 마음 가짐입니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저는 언제쯤 리젝 메일에 아무런 흔들림이 없을 수 있을까요?ㅎㅎㅎ 아직 수양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 단 한번도 리젝을 받지 않은 논문은 제대로 된 논문이 아니다: 리젝은 연구에 대한 일종의 Quality Control (검수 과정)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피할 수 없을을 인정해야합니다.
  • 모든 리젝에는 이유가 있다: 비록 내가 감정적으로 납득이 어렵다 하더라도, 모든 리젝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일정 기간 쿨 다운 후 내가 리젝을 받은 이유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찬찬히 따져보는 게 좋습니다. 어떻게 보면 더 나은 논문을 위해서, 다시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 받은 셈이니까요.
  • 한번의 억셉을 위해서 적어도 3~4번, 많게는 10번까지도 리젝을 적립(?)해야 한다: 이번 리젝이 한번의 억셉을 위해 나아가는 과정으로, 이렇게 또 하나의 리젝을 적립했구나 생각하면 좀 마음이 편합니다.

What to Do When Your Paper Is Rejected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이라는 저널도 있군요. 다음은 아래의 참고 문헌에서 말하는 리젝을 받았을 때, 무엇을 하면 좋은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조하세요.

  • Take Your Pulse
  • Reading the Rejection Letter
  • Following the Author Instructions
  • Matching Paper to Journal
  • Obtaining Additional Data or Reanalyzing Existing Data
  • Resubmitting to the Same Journal or a New Journal

How to deal with paper rejection

마지막으로 아래는 제가 추가로 생각하는 리젝의 경험을 기회로 살려 활용하기 위한 몇가지 개인적인 팁 입니다.

  • Cooling-down phase: 잠시 동안 리젝 메일을 멀리하고, 다른 일들에 집중합니다. 운동과 산책, 쇼핑이나 게임 등 스스로 환기할 수 있는 활동들을 하면서,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힙니다. Resilience 가 좋다면 하루 이틀 정도, 데미지가 크다면 1~2주 정도 또는 그 이상의 기간도 좋습니다. (사실 동시에 여러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다른 일을 하면서 쿨텀이 차게 됩니다.)
  • 저 단계를 벗어났다면, 리젝 메일을 읽어보고, 객관적으로 제 3자가 나의 논문을 어떻게 판단하였는지 분석합니다. 너무 논문의 목표를 높게 잡은 것은 아닌지 (Desk Reject), 다른 사람이 보기에 내가 부족했던 내용은 무엇인지 (리뷰 후 리젝), 이러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나의 논문을 어떻게 개선 시킬 것인지에 대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만약 개선이 가능한 부분 (추가 실험 또는 데이터, 논문의 서술 등)이 있다면, 이를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서 생각해 봅니다.
  • 타겟 저널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기: 데스크 리젝이 되는 경우에는 나의 논문이 해당 저널에서 관심이 없는 경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해당 주제에 대해서 흥미를 가질 만한 다른 저널들이 무엇이 있을지에 대해서 다시 전략을 수립합니다.

[References]

Sullivan, Gail M. “What to do when your paper is rejected.” (2015): 1-3.

Three ways to turn the page after your first paper rejection

광고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