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 리젝에 대처하는 마음가짐: How to deal with paper rejection 2021/09/28
- [스크랩] Writing a Review Article 2021/07/01
- [스크랩] 좋은 Cover Letter를 쓰는데 참고할 자료 2020/06/03
- Bioinformatics 비전공자를 위한, Bioinformatics 어떻게 공부하는게 효과적일까? 2020/03/20
- 블로그 포스팅 작성 과정과 작성 이유 2020/03/18
- [책 소개] 유전자 사냥꾼, Genome: The Story of the Most Astonishing Scientific Adventure of Our Time–The Attempt to Map All the Genes in the Human Body 2019/12/30
- 영국의 정밀 의료 사례: UK biobank, 100,000 Genome Project, NHS England 까지 2019/03/28
- 논문 쓰기 A to Z: 유용한 자료와 개인적인 팁 2019/03/22
- NGS 분석 파이프 라인의 이해: GATK Best Practice 2019/03/08
- Excel을 이용한 Forest plot 그리기 2019/02/19
- 면역 항암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의 원리 및 종류 2018/12/10
- Excel을 이용한 Heatmap 그리기 2018/11/30
- Endnote 저널명 정리하는 유용한 팁 2018/11/30
- NGS 결과의 임상 적용: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2018/10/12
- 바이오 연구자를 위한 Genome Browser 비교 및 활용 2018/06/03
- 의료 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와 고려 사항 2018/05/07
- [스크랩] Common Proposal Mistakes to Avoid 2018/03/02
- 벡터 깎던 노인의 신무기 2018/02/23
- [스크랩] Ten simple rules for structuring papers 2017/10/31
- 미래의료와 P4 Medicine 2017/09/29
- 블로그를 시작하며.. 2017/09/28
[컬럼 & 오피니언]
- 리젝에 대처하는 마음가짐: How to deal with paper rejection 2021/09/28
- 보스턴 정착 일지 2021/03/30
- J1 Visiting Scholar 준비 과정 2021/01/16
- 대학원 생활과 번아웃 증후군 (Burn Out syndrome) 2020/11/04
- ‘의사-과학자 (Physician-Scientist)로 살아가기’에 대한 생각 2020/08/14
- 유전학 연구에서의 표현형: Phenotype is king, genotype is queen 2020/07/03
- Bioinformatics 비전공자를 위한, Bioinformatics 어떻게 공부하는게 효과적일까? 2020/03/20
- 블로그 포스팅 작성 과정과 작성 이유 2020/03/18
- 펜벤다졸 (Fenbendazole), 개구충제의 항암효과 이슈에 담긴 약물 유전학 2019/11/03
- 국제 학회 네트워킹을 위한 팁 2019/06/24
- 중개연구 MD와 PhD의 관계에 관한 생각 2019/03/31
- 약물 유전체 연구가 어려운 이유 2018/07/07
- DTC 유전자 검사의 딜레마: 과학과 산업 사이 2017/11/06
- 약물 유전학은 왜 정밀의료에서 중요한가? 2017/09/28
[학회 & 워크샵]
- [Broad Institute] Medical and Population Genetics (MPG) seminar 2021/04/28
- 제 19차 CBMC 희귀질환 센터 화상 컨퍼런스 강의 자료 2020/11/18
- 제 14차 CBMC 희귀질환 센터 화상 컨퍼런스 강의 자료 2020/07/14
- [학회 참관기] 2019 ASHG Annual Meeting 2019/10/09
- [참석 후기] 2019 대한진단유전학회 학술대회 2019/05/31
- [참석 후기] Human Genome Meeting 2019 2019/04/26
- [참석 후기] 진단유전학회 유전상담 연수강좌 2018/08/27
- [참석 후기] 유전체학회 제 13회 통계유전학 워크샵 2018/07/22
- [참석 후기] AI EXPO 2018 인공지능 유저 컨퍼런스 2018/07/11
[bioinformatics]
- 구조 변이 annotation tool: AnnotSV 2021/09/28
- AlphaFold를 이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 2021/07/26
- 유전체 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 운영 (feat. harvard e2) 2021/06/22
- [NGS DNA-SEQ] Functional Equivalence pipeline: CROMWELL, WDL 2021/05/28
- 유용한 VCF manipulation commands 2021/05/13
- Protein Structure Visualization: RCSB Protein Data Bank (PDB) & PyMOL 2020/05/14
- Rare variant association analysis: SKAT, SKAT-O, Burden test 2020/04/06
- plink를 이용한 GWAS 분석 및 Manhattan plot 만들기 2020/03/27
- NGS DNA-seq pipeline: GATK Best Practice Code – Part3. Vcf manipulation 2019/10/01
- NGS DNA-seq pipeline: GATK Best Practice Code – Part2. Bam to Vcf 2019/09/26
- NGS DNA-seq pipeline: GATK Best Practice Code – Part1. Fastq to Bam 2019/09/23
- [계속 Update 예정] 자주 쓰는 linux 명령어 및 프로그램 관련 자료 2019/09/16
- Annovar: Population frequency, in-silico prediction tool 및 기타 database 활용 2019/09/10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흔한 오류와 의료 정보 데이터 전처리시 고려할 사항 2019/07/09
- 암유전체 분석: GISTIC을 이용한 Somatic Copy Number Alteration 분석 2019/01/11
- 암유전체 분석: Waterfall plot 2018/07/17
- 아미노산 치환의 효과 예측: In silico tool의 원리와 종류 2017/10/12
[인공지능]
- AlphaFold를 이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 2021/07/26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흔한 오류와 의료 정보 데이터 전처리시 고려할 사항 2019/07/09
- 임상 빅데이터와 딥러닝(Deep Learning)을 활용한 연구와 고려사항 2019/02/22
- [참석 후기] AI EXPO 2018 인공지능 유저 컨퍼런스 2018/07/11
- 의료 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와 고려 사항 2018/05/07
- 의학 연구를 위한 기계학습: Supervised learning의 연구 설계 구조 2017/10/18
[실험실 노트]
- [실험실 노트] Organoid의 기본 개념과 활용 2020/01/02
- [실험실 노트] Multi-cistronic vector design: IRES와 2A peptide 2019/08/23
- [실험실 노트] CRISPR-Cas9 절단 효율 검출 2019/06/05
- [실험실 노트] Real Time-PCR의 원리와 qPCR primer를 이용한 CNV 확인 2019/05/07
- [실험실 노트] Lentivirus의 특성 및 연구 활용 2019/03/27
- [실험실 노트] 유전자 가위 CRISPR/Cas9을 이용한 Gene Editing 2019/02/27
- 유전자 변형 마우스 제작과 기본 개념 2018/10/26
- [실험실 노트] Problems amplifying GC-rich regions? Problem Solved! 2018/06/28
- [실험실 노트] Sanger sequencing Primer design 2018/06/03
- [스크랩] PCR에서 GC enhancer의 역할 2018/05/17
- Gene assembly method: SLIC, Gibson and CPEC assembly 2018/03/06
- Gibson Assembly 활용 2018/02/26
- [스크랩] Tips for successful cloning from NEB 2018/02/21
- [실험실 노트] 성공적인 Cloning 실험을 위한 Tip 2018/01/29
[유전체 연구]
- Mila 이야기와 Antisense oligonucleotides 치료제 2021/11/24
- 구조 변이 annotation tool: AnnotSV 2021/09/28
- GTEx portal: eqtl, sqtl database 2021/08/03
- AlphaFold를 이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 2021/07/26
- Epigenomic profiling을 위한 ATAC-seq 2021/07/08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오믹스 (Omics) 와 단일 세포 시퀀싱 (Single cell sequencing) 2021/06/30
- [논문소개] 면역억제제 Tacrolimus의 약물 유전체 연구 2021/04/23
- [논문 소개] 담관암(Biliary Tract Cancer)의 정밀 의료 실현을 위한 연구 2021/04/22
- 참조 유전체 Reference Genome: GRCh38, GRCh19, KOREF 2020/06/03
- 유전자 해석의 Framework: RefGene, EnsGene, UCSC Gene 2020/05/20
- Haplotype 의미와 Linkage Disequilibrium (LD), Haplotype Phasing 검사 방법 2020/04/27
- Rare variant association analysis: SKAT, SKAT-O, Burden test 2020/04/06
- plink를 이용한 GWAS 분석 및 Manhattan plot 만들기 2020/03/27
- DNA methylation과 CpG island 2020/03/12
- Epigenetics의 개념과 Chromatin structure, Histone modification 2020/02/21
- DNA 손상 복구 기전과 타겟 치료 항암제 2020/02/06
- 약물유전체 Annotation tool: PharmCAT 2019/11/11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Hardy-Weinberg Equilibrium과 Variant Frequency 2019/10/30
- Annovar: Population frequency, in-silico prediction tool 및 기타 database 활용 2019/09/10
- Exome sequencing을 위해 고려할 요소들: capture kit와 target coverage 선택 2019/08/26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Long intergenic non-coding RNA (lincRNA)의 특징과 생물학적 기능 2019/07/26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Complex Trait and Polygenic Risk Score 2019/06/16
- PacBiO SMRT sequencing: Long Reads Sequencing의 원리와 장,단점 2019/04/28
- [유전학 중요 정리] Nonsense-mediated decay (NMD) and Genetic compensation 2019/04/17
- NGS Target enrichment method: Hybridization vs. Amplicon capture 2019/04/07
- [실험실 노트] Lentivirus의 특성 및 연구 활용 2019/03/27
- 암유전체 분석: Driver mutation prediction tools 2019/03/18
- NGS 분석 파이프 라인의 이해: GATK Best Practice 2019/03/08
- [실험실 노트] 유전자 가위 CRISPR/Cas9을 이용한 Gene Editing 2019/02/27
- 암유전체 분석: GISTIC을 이용한 Somatic Copy Number Alteration 분석 2019/01/11
- Genetic Testing Registry: 유전 검사 의뢰 기관 찾기 2019/01/08
- 유전자 변형 마우스: Strain nomenclature 2019/01/02
- SNP array의 원리와 CNV 분석: B Allele Frequency, LogR ratio 2018/12/26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유전체 발현에서의 CTCF의 역할과 기능 2018/12/21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Enhancer, Super-enhancer 2018/11/14
- 유전자 변형 마우스 제작과 기본 개념 2018/10/26
- Tandem Repeat Polymorphism과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 (eSTR) 2018/10/05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Complex DNA rearrangement: Chromothripsis, Chromoanasynthesis, and Chromoplexy 2018/09/21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Copy neutral loss of heterozygosity (CN-LOH) 2018/09/18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Genomic imprinting and Uniparental disomy (UPD) 2018/08/13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Mutational signature 2018/07/20
- 암유전체 분석: Waterfall plot 2018/07/17
- Ensemble Genome Browser를 이용한 종별 아미노산 서열 보존 비교 2018/06/17
- 바이오 연구자를 위한 Genome Browser 비교 및 활용 2018/06/03
- SNP array와 array CGH의 원리 및 UK Biobank Array, Korean Chip 2018/05/29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Haploinsufficiency와 pLI score, Dominant Negative 2018/05/18
- NGS Targeted Gene Panel 디자인을 위한 고려 사항 2018/04/09
- Non-coding 영역의 GWAS 신호 해석: 3C, 4C, Hi-C technique 2018/01/16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eQTL 2017/12/29
- 우리 몸 속의 화석, 유사 유전자 (Pseudogene)란? 2017/11/28
- NGS 검사: Whole Genome & Exome, Targeted Sequencing 비교 2017/10/30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Germline vs. Somatic mutation 2017/10/27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Compound Heterozygote 2017/10/26
- 아미노산 치환의 효과 예측: In silico tool의 원리와 종류 2017/10/12
- 유전자 변이의 해석: 대용량 기능 검사의 필요성 2017/10/10
- 약물유전체 정밀의료의 실현, F-CAP 프로젝트 2017/10/01
-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 GWAS란 무엇인가? 2017/09/29
- 휴먼 게놈 프로젝트, 그 이후.. 그리고 정밀 의료시대까지 2017/09/29
[진단검사의학]
- 구조 변이 annotation tool: AnnotSV 2021/09/28
- 유전자 해석의 Framework: RefGene, EnsGene, UCSC Gene 2020/05/20
- Exome sequencing을 위해 고려할 요소들: capture kit와 target coverage 선택 2019/08/26
- Tumor Mutation Burden의 계산과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2019/08/10
- [참석 후기] 2019 대한진단유전학회 학술대회 2019/05/31
- 닥터 프리즈너 속 헌팅턴병의 유전학: 삼염기 반복 질환과 Anticipation 2019/05/15
- PacBiO SMRT sequencing: Long Reads Sequencing의 원리와 장,단점 2019/04/28
- NGS Target enrichment method: Hybridization vs. Amplicon capture 2019/04/07
- 암유전체 분석: Driver mutation prediction tools 2019/03/18
- Genetic Testing Registry: 유전 검사 의뢰 기관 찾기 2019/01/08
- SNP array의 원리와 CNV 분석: B Allele Frequency, LogR ratio 2018/12/26
- 체외 진단 의료기기 (IVD)의 의미와 허가 절차 2018/11/19
- [Cytogenetics] Pseudo-autosomal region (PAR) 2018/10/23
- NGS 결과의 임상 적용: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2018/10/12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Copy neutral loss of heterozygosity (CN-LOH) 2018/09/18
- [참석 후기] 진단유전학회 유전상담 연수강좌 2018/08/27
- Splicing 과정과 splicing site 변이 해석 2018/06/22
- 바이오 연구자를 위한 Genome Browser 비교 및 활용 2018/06/03
- SNP array와 array CGH의 원리 및 UK Biobank Array, Korean Chip 2018/05/29
- NGS 데이터를 이용한 CNV 분석 2018/05/02
- NGS Targeted Gene Panel 디자인을 위한 고려 사항 2018/04/09
- NGS 타깃 시퀀싱 패널 검사의 분석 및 해석시 고려할 사항 2018/04/02
- 동반 진단, Companion diagnostics란 무엇인가? 2018/01/08
- 신의료기술 평가 및 유예,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 제도란? 2017/12/07
- 우리 몸 속의 화석, 유사 유전자 (Pseudogene)란? 2017/11/28
- 임상의를 위한 NGS 레포트 해석의 이해 2017/11/14
- DTC 유전자 검사의 딜레마: 과학과 산업 사이 2017/11/06
- NGS 검사: Whole Genome & Exome, Targeted Sequencing 비교 2017/10/30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Germline vs. Somatic mutation 2017/10/27
- [유전학 중요개념 정리] Compound Heterozygote 2017/10/26
- 의학 연구를 위한 기계학습: Supervised learning의 연구 설계 구조 2017/10/18
- 진단검사의학과 소개 2017/09/28